전국 7개 중 ‘통학 유형’ 대상
2개 대학 자체 통학버스 운영
거창고·대고 타 거주학생 50%
인구감소지역 맞춤형 정책기대
생활인구 활용한 제도개선시행
![]() |
거창군이 행안부가 올해 처음으로 실시한 전국 7곳 생활인구 시범산정 대상지역으로 경남에서 유일하게 선정됐다. 도립거창대학과 승강기대학, 거창고·대성고 등 교육여건이 좋아 거창지역을 왕래하는 인원이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경남도립거창대학 전경. <사진: 거창군> |
행정안전부가 올해 처음으로 실시하는 생활인구 시범산정 대상지역에 경남에서는 유일하게 거창군이 선정됐다.
행안부는 관광·통근·통학·기타 등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경남·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 등 7개 광역도로부터 3개 시군을 유형별로 각각 추천받았다. 이후 광역도별 1곳씩 모두 7곳을 생활인구 시범산정 대상 지역으로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생활인구는 국가 총인구 감소, 지역 간 인구 유치경쟁 상황을 극복하고자 행안부가 도입한 새로운 인구 개념이다. 정주 인구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체류자와 등록외국인 등 지역에 활력을 높이는 사람까지 산정인구로 포함한다.
‘통학 유형’안 거창군은 도립거창대학, 한국승강기대학 2개 대학이 있다. 다른 지역 학생이 많다 보니 대학에서 자체 통학 버스를 운영하는 등 다수의 학생이 거창지역을 왕래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거창고·거창대성고는 전국단위 모집이 가능한 농어촌 자율학교로 다른 지역 거주 학생이 50% 이상을 상회해 친인척의 방문이 많은 것으로 보고 있다. 중학교의 경우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감소율이 낮아 학령인구 감소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생활인구는 월 단위로 분기마다 산정된다. 산정 내용은 성별, 연령대별, 체류일수별, 내·외국인별 생활인구다. 법무부, 통계청 등과 협업해 인구감소지역의 생활인구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가 정책 추진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각 부처나 지방자치단체 등에 제공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생활인구를 활용해 젊은 직장인의 방문이 많은 지역은 휴가지 원격근무 사업을 추진하는 등 맞춤형 정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거창군도 통학 유형의 생활인구 산정을 통해 지역 특화 학교 인프라와 고등교육의 강점을 활용해 학령인구 감소의 시대적 프레임을 극복하고, 인구 특성에 맞는 신정책을 발굴하는 등 인구감소지역에 필요한 제도 개선을 중점적으로 고민해 나갈 계획이다.
구인모 거창군수는 “생활인구 데이터를 통해 인구감소지역 맞춤형 정책 추진이 가능할 것”이라며 “통학 데이터를 면밀히 활용해 경남도 교육산업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정책적 연결고리와 전략적 연계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편 행안부는 ‘생활인구의 세부요건 등에 관한 규정’을 18일 제정·시행한다고 밝혔다. 올해 인구감소지역 7곳을 대상으로 생활인구를 시범 산정하고, 내년부터 전체 인구감소지역 89곳으로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은정 기자 newsnuri@hanmail.net